![[프로그래머스/JAVA] 92343번 양과 늑대 (DFS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pJMU7%2FbtsK1KZSGEh%2F4GKfgDwTKCWY36oZlpy6hK%2Fimg.png)

문제
문제 링크
2022 KAKAO BLIND RECRUITMENT 양과 늑대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92343
프로그래머스
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2진 트리 모양 초원의 각 노드에 늑대와 양이 한 마리씩 놓여 있습니다.
이 초원의 루트 노드에서 출발하여 각 노드를 돌아다니며 양을 모으려 합니다.
각 노드를 방문할 때 마다 해당 노드에 있던 양과 늑대가 당신을 따라오게 됩니다.
이때, 늑대는 양을 잡아먹을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, 당신이 모은 양의 수보다 늑대의 수가 같거나 더 많아지면 바로 모든 양을 잡아먹어 버립니다.
당신은 중간에 양이 늑대에게 잡아먹히지 않도록 하면서 최대한 많은 수의 양을 모아서 다시 루트 노드로 돌아오려 합니다.

예를 들어, 위 그림의 경우(루트 노드에는 항상 양이 있습니다) 0번 노드(루트 노드)에서 출발하면 양을 한마리 모을 수 있습니다.
다음으로 1번 노드로 이동하면 당신이 모은 양은 두 마리가 됩니다.
이때, 바로 4번 노드로 이동하면 늑대 한 마리가 당신을 따라오게 됩니다.
아직은 양 2마리, 늑대 1마리로 양이 잡아먹히지 않지만, 이후에 갈 수 있는 아직 방문하지 않은 모든 노드(2, 3, 6, 8번)에는 늑대가 있습니다.
이어서 늑대가 있는 노드로 이동한다면(예를 들어 바로 6번 노드로 이동한다면) 양 2마리, 늑대 2마리가 되어 양이 모두 잡아먹힙니다.
여기서는 0번, 1번 노드를 방문하여 양을 2마리 모은 후, 8번 노드로 이동한 후(양 2마리 늑대 1마리) 이어서 7번, 9번 노드를 방문하면 양 4마리 늑대 1마리가 됩니다.
이제 4번, 6번 노드로 이동하면 양 4마리, 늑대 3마리가 되며, 이제 5번 노드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.
따라서 양을 최대 5마리 모을 수 있습니다.
각 노드에 있는 양 또는 늑대에 대한 정보가 담긴 배열 info, 2진 트리의 각 노드들의 연결 관계를 담은 2차원 배열 ed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
문제에 제시된 조건에 따라 각 노드를 방문하면서 모을 수 있는 양은 최대 몇 마리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 사항
- 2 ≤ info의 길이 ≤ 17
- info의 원소는 0 또는 1 입니다. 0은 양, 1은 늑대를 의미합니다.
- info[0]의 값은 항상 0입니다. 즉, 0번 노드(루트 노드)에는 항상 양이 있습니다.
- info[i]는 i번 노드에 있는 양 또는 늑대를 나타냅니다.
- edges의 세로(행) 길이 = info의 길이 - 1
- edges의 가로(열) 길이 = 2
- 동일한 간선에 대한 정보가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0번 노드는 항상 루트 노드입니다.
- 항상 하나의 이진 트리 형태로 입력이 주어지며, 잘못된 데이터가 주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edges의 각 행은 [부모 노드 번호, 자식 노드 번호] 형태로, 서로 연결된 두 노드를 나타냅니다.
입출력 예시
info | edges | result |
[0,0,1,1,1,0,1,0,1,0,1,1] | [[0,1],[1,2],[1,4],[0,8],[8,7],[9,10],[9,11],[4,3],[6,5],[4,6],[8,9]] | 5 |
[0,1,0,1,1,0,1,0,0,1,0] | [[0,1],[0,2],[1,3],[1,4],[2,5],[2,6],[3,7],[4,8],[6,9],[9,10]] | 5 |
문제 풀이
접근 방법
- 이진트리를 위한 Node 클래스 생성
- id, 양or늑대 타입, 자식 노드
- 탐색하는 과정에서 모은 늑대수 < 양수 여야 양이 잡아먹히지 않는다.
- DFS 탐색을 통해서 현재 탐색 노드에 양이 있는지 늑대가 있는지 확인 후 늑대가 많으면 탐색 중지
- 양의 수가 많다면 현재 탐색 리스트에 현재 노드 제거 후, 현재 노드 자식을 탐색 리스트에 추가
- 탐색시 최대 양의 수 업데이트
코드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List;
public class P_92343 {
static int maxSheep;
private static int solution(int[] info, int[][] edges) {
maxSheep = 0;
List<Node> NODES = new ArrayList<>(info.length);
for (int i = 0; i < info.length; i++) {
NODES.add(new Node(i, info[i]));
}
Node parent, child;
// 이진 트리 만들기
for (int[] edge : edges) {
parent = NODES.get(edge[0]);
child = NODES.get(edge[1]);
if(parent.left == null) {
parent.left = child;
} else {
parent.right = child;
}
}
// 탐색은 0번 루트 노드부터 시작
List<Node> seekList = new ArrayList<>();
seekList.add(NODES.get(0));
// dfs 탐색
dfs(seekList, 0, 0);
return maxSheep;
}
private static void dfs(List<Node> seek, int sheep, int wolf) {
for (int i=0; i<seek.size(); i++) {
// 현재 탐색 노드
Node cur = seek.get(i);
int curS = sheep + (cur.isSheep ? 1 : 0);
int curW = wolf + (cur.isSheep ? 0 : 1);
// 늑대가 양보다 같거나 많아지면 탐색 종료
if (curS <= curW) continue;
// 최대 양 업데이트
maxSheep = Math.max(maxSheep, curS);
// 다음 탐색할 노드 리스트 seek -> 현재 노드 제거 및 자식 노드 추가
List<Node> nextSeek = new ArrayList<>(seek);
nextSeek.remove(cur);
if (cur.left != null) nextSeek.add(cur.left);
if (cur.right != null) nextSeek.add(cur.right);
// 재귀 호출
if (!nextSeek.isEmpty()) {
dfs(nextSeek, curS, curW);
}
}
}
static class Node {
int id;
boolean isSheep;
Node left, right;
Node(int id, int type) {
this.id = id;
this.isSheep = (type==0) ? true : false;
}
}
}
'Coding Test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/JAVA] 17685번 [3차] 자동완성 (Trie) (0) | 2024.12.17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/JAVA] 49189번 가장 먼 노드 (그래프, BFS) (1) | 2024.12.03 |
[프로그래머스/JAVA] 42587번 프로세스 (1) | 2024.11.28 |
[프로그래머스/JAVA] 169199번 리코쳇 로봇 (BFS) (0) | 2024.11.28 |
[프로그래머스/JAVA] 86971번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(BFS) (0) | 2024.11.28 |

dundun213 님의 블로그 입니다.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